맨위로가기

고대 이집트 종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대 이집트 종교는 지중해 지역의 다른 종교들과 달리 확고한 교리나 믿음에 기초하지 않고, 자연 현상에서 비롯된 다양한 신들을 숭배했다. 주요 신전 도시와 시대에 따라 신화와 역할이 달랐지만, 사후세계, 태양신 라의 권력 등은 공통적으로 믿어졌다. 이집트인들은 다신교를 믿었으며, 파라오는 인간과 신을 잇는 존재로 숭배받았다. 고대 이집트 종교는 다양한 문헌과 의례를 통해 전해졌으며, 사후 세계에 대한 믿음과 미라 제작, 신전 건축 등이 특징적이었다. 또한, 이집트 종교는 주변 문화에 영향을 미쳤으며, 현대에도 케메티즘과 같은 형태로 그 흔적이 남아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대 종교 - 종교사학파
    종교사학파는 텍스트 뒤의 세계를 탐구하며 기독교의 절대 진리 주장을 거부하고 혼합주의적 기원을 주장하며 성경 역사와 텍스트 분석에 새로운 연구 분야를 개척했다.
  • 고대 종교 - 로마 신화
    로마 신화는 로마인들이 믿었던 신들과 영웅에 대한 이야기로, 그리스 신화의 영향을 받아 발전했으며, 로마의 기원, 정치, 도덕 등을 반영하고, 예술과 문화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 이집트 신화 - 앙크
    앙크는 고대 이집트어에서 유래한 '생명'을 의미하는 상징으로, 기원전 30세기경부터 사용되었으며 다양한 기원 해석이 존재하고, 고대 이집트에서 생명의 순환을 상징하며 종교와 예술에 널리 사용되었고 현대에는 장신구 등으로 활용된다.
  • 이집트 신화 - 피라미드 텍스트
    피라미드 텍스트는 고대 이집트 피라미드 내부 벽면에 새겨진 상형 문구 모음으로, 파라오의 사후 세계로의 안전한 여행과 영생을 기원하는 주문, 의례, 신화 등을 담고 있으며, 가스통 마스페로에 의해 최초 발견되어 이후 여러 학자들에 의해 연구되었다.
  • 고대 이집트 - 람세스 3세
    람세스 3세는 기원전 1186년부터 1155년까지 이집트를 통치한 제20왕조의 파라오로, 해양 민족과 리비아인의 침입을 막아 이집트의 안정을 유지했지만 통치 말기 경제적 어려움과 암살로 비극적인 최후를 맞이했으며, 메디넷 하부 신전 등의 건축 사업을 통해 업적을 기념했다.
  • 고대 이집트 - 하이집트
    하이집트는 고대 이집트의 북쪽 지역으로 나일강 삼각주에 위치하며 지중해와 인접하여 상이집트보다 온화한 기후를 가졌고, 선왕조 시대 여러 왕들이 존재했으나 상이집트의 나르메르 왕에 의해 통일되어 20개의 노메로 나뉘어 통치되었다.
고대 이집트 종교
개요
고대 이집트 종교의 상징
고대 이집트 종교의 상징
유형다신교
위치고대 이집트
숭배 대상다양한 신들, 여신들, 파라오 (일부 시대)
성직자사제, 여사제
성전신전
주요 경전사자의 서
피라미드 텍스트
관 텍스트
관련 종교고대 근동 종교, 헬레니즘 종교
주요 신
최고신시대와 지역에 따라 다양함 (아문, , 프타, 아툼, 오시리스, 이시스)
창조신아툼, 프타, 크눔
태양신, 아툼, 케프리, 호루스
달의 신토트, 콘수
하늘의 여신누트
땅의 신게브
강의 신하피
사랑의 여신하토르
전쟁의 신세트, 세크메트, 몬투
지혜의 신토트
사후 세계의 신오시리스, 아누비스
보호의 여신이시스, 바스테트
파라오의 수호신호루스
특징
내세관사후 세계에서의 영원한 삶을 추구
신전신들의 거주지이자 숭배의 중심지
동물 숭배특정 동물들을 신성시 여김
마법삶과 사후 세계에서 중요한 역할 수행
파라오 숭배파라오를 신의 화신으로 여김 (일부 시대)
역사
기원기원전 4천년기 이전
쇠퇴로마 제국 시대 이후 기독교의 확산
관련 개념
마아트우주적 질서, 진실, 정의
미라사후 세계에서의 삶을 위한 보존
생명력, 영혼의 일부
영혼, 인격
아크변형된 영혼
문화적 영향
건축피라미드, 신전
예술조각상, 그림, 상형 문자
문학사자의 서, 피라미드 텍스트
과학천문학, 수학, 의학
현대의 영향
이집트학고대 이집트 문화 연구
신이교주의고대 이집트 종교의 현대적 부활

2. 이집트 종교의 양상

고대 이집트 종교는 지중해권의 다른 종교들과 달리 하나의 확실한 교리나 믿음에 기초하고 있지 않다. 신 대부분은 당시 사람들에게 괴이하게 느껴졌던 자연의 모습에서 출발하였으며, 몇몇 신들은 타민족들이 믿던 신으로서 이집트 종교에 포섭되기도 하였다. 그래서 이집트 신화는 그리스 신화와 같은 짜임새 있는 신화가 아니다. 각 주요 신전이 있는 도시나 시대마다 같은 신이라도 신화나 능력이 달라지며, 심지어 창조 신화들도 달랐다.[46] 초기의 이집트 종교는 인간과 신 사이의 관계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으나,[47] 후기로 가면서 왕권과 신들의 능력에 초점이 맞추어졌으며 그 양상도 달라졌다. 하지만, 사후세계와 태양신 의 권력 등 몇 가지 신앙은 거의 모든 이집트 지역에서 공통으로 믿어졌다.[48]

주요 신전들의 사제들은 신들의 계보나 이야기들을 파피루스 등의 매체를 통하여 서술하였으며, 현재 가장 널리 알려진 이집트 신화들은 헬리오폴리스헤르모폴리스의 신화이다. 이집트의 신들은 고대 그리스로 넘어가 그리스의 신들과 융합되기도 하였으며, 로마 제국에서는 이시스 숭배가 성행하여 이시스의 축전이 매년 성대하게 열릴 정도였다.

3. 이집트 종교의 철학과 신학

이집트인들은 자연 현상들이 서로 연관되어 있다고 보았기 때문에[52] 몇몇 신들을 연계하였다. 신들은 남성, 여성과 같이 두 가지 요소가 자연 현상에 개입한다고 보아 한 쌍으로 묶이기도 하고, 동양 철학의 태극사상처럼 극과 극의 성향을 가진 신들끼리 묶이기도 했다. 창조의 신 프타와 파괴의 여신 세크메트, 하늘의 여신 누트와 땅의 신 게브가 그 예이다. 아버지, 어머니, 아이로 이루어진 3인 가족 형태를 따라 3명이 하나로 묶이기도 했고, 오그도아드엔네아드처럼 더 큰 무리를 이루거나, 낮과 밤의 기준에 따라 비주류 신들이 연대되기도 했다.[60]

신들 간의 연대는 혼합주의 과정에서 최소 두 신이 자웅동체로 묘사되거나, 외국의 신과 자국의 신을 합치고, 하나의 신 안에 여러 인격체를 포함시켜 다양한 관점을 보이게도 했다. 바람과 공기의 신 아문투탕카멘 치하 테베 사제들에 의해 태양신 아문-라로 합쳐져, 자연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숨겨진 힘을 상징하는 신으로 숭배받았다.[61]

아문-라의 조각


이집트 역사에서 호루스를 포함한 태양신 라와 이시스가 최대 숭배 대상이었고, 신왕국 시대에는 아문이 이 지위를 물려받아 일신교 사상에 가장 근접한 신학을 보여주었다.[62] 아문은 태양신 라와 합쳐져 아문-라가 되면서 보이지 않는 모든 힘의 절대자로 여겨졌고, 그 결과 모든 신이 궁극적으로 "보이지 않는 힘"의 양상을 띠게 되었다.[63][64]

아문 사상 기반의 이집트 문학 작품에는 신에 대한 언급이 없어, 많은 이집트학자는 이집트 종교가 다신교에서 일신교로 가는 경향을 보였다고 주장한다. 에릭 호르눙은 이집트 종교가 완벽한 다신교가 아니라고 주장하며, "유일한", "모든 존재들의 군주" 같은 표현과 "신"이나 "무엇이든지 신이 원하는 대로" 같은 용어 사용을 그 근거로 제시했다.[65] 그의 주장은 이집트 종교를 순수 다신교로만 보기 어렵게 한다.[66]

최근 제임스 앨런, 얀 아스만 등도 이집트인들이 어느 정도 단 하나의 신을 인정했을 것이라 시사한다.[67][68] 앨런은 이집트인들이 혼합주의 속에서 다신교와 일신교를 동시에 섬겼다고 주장한다. 이집트 신학은 다신교 형태 속에서 유일신을 인정했을 수 있으며, 일반 이집트인들은 여러 신 중 하나만 믿는 일신숭배를 했을 가능성도 있다.[67][69]

아크나톤의 부인 네페르티티


신왕국(기원전 1570~1070년) 시대 파라오 아크나톤은 왕권을 위협하는 아문 사제들을 견제하고자 다신교를 폐지하고 아톤(아텐)을 유일신으로 하는 일신교를 국교로 삼았다. 아톤은 태양 원반, 광선으로 묘사된다.[70] 그러나 이 조치는 이집트 전통과 어긋났고,[71] 아텐의 비인격적인 본성은 이집트인들에게 매력적이지 않았다. 결국 아크나톤 사후 다신교로 복귀했고, 아크나톤은 이교도로 비난받았다.[72] 아톤 신앙은 유대교를 제외한 유일신 신앙으로서 학계의 주목을 받았으나, 유대교와의 연관성은 고고학적으로 입증되지 않았다.

3. 1. 다신교

고대 이집트 사람들은 모든 자연의 움직임과 원리에 신들의 힘이 작용한다고 보았다. 그들은 신들이 자연 현상을 조종할 뿐만 아니라, 그 자연 요소 속에 신성이 있다고 믿었다.[49] 이러한 믿음은 동물들에게도 적용되어, 파괴의 여신 세크메트는 사나운 동물로 여겨진 암사자의 얼굴을 하고 있었다. 공기나 습기, 땅과 같은 요소도 신으로 섬겨, 공기와 공간의 신 나 습기의 여신 테프네트와 같은 신들도 숭배 대상이 되었다. 또한, 이집트의 신들은 추상적인 요소도 포함하고 있는데, 호루스는 파라오의 왕권을 상징하였다.[50]

암사자의 머리를 한 파괴의 여신 세크메트


투탕카멘의 무덤에서 발굴된 아누비스의 상징, 자칼


이러한 이유로 고대 이집트 사람들은 자연과 사회의 모든 관점에서 수반된 신 다수를 믿었다.[51][50] 이집트 종교는 자연법칙의 기원과 원리를 설명하고, 신자와 사제들이 기도와 제물 헌납을 통해 신들을 달래고 인간들에게 피해가 오지 않도록 하려는 의도가 있었다.[52]다신교 형태는 매우 복잡해서, 어떤 신들은 수많은 다른 모습으로 표현되었으며 역할도 다양하였다. 고대 이집트 후기로 가면 태양과 같은 자연의 힘을 가진 여러 비슷한 신을 하나로 연합시키기도 했다.[53]

고대 이집트 예술에서 신들은 '미지'와 '신비'의 모습으로 묘사되어야 한다고 믿었다. 그래서 신들을 자연의 상징물에 비유함으로써 추상적인 신들을 알아볼 수 있는 형태로 그렸다.[54][50] 예를 들어 죽음의 신 아누비스는 인간들의 시신을 훼손하여 먹이를 먹는 자칼의 머리를 한 모습으로 묘사되었다. 그의 검은 피부는 고기를 바짝 말린 색의 상징이자 이집트 사람들이 부활의 상징으로 보았던 기름진 검은 토양의 색이다.[55] 하지만, 이 상징주의는 표준화된 것이 아니므로, 많은 신들이 다양한 형태로 표현되었다.

3. 2. 신들 간의 조합

이집트인들은 각기 다른 자연 현상들이 서로 연관되어 있다고 보았기 때문에[52] 몇몇 신들을 연계하기도 하였다. 때때로 신들은 한 쌍으로 묶였는데, 이는 남성, 여성과 같이 두 가지의 요소가 자연 현상에 개입한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이는 동양 철학의 태극사상과 유사하다. 부부 신들의 성향 역시 극과 극의 성향이 있는 신들로 묶는 경향이 있었다. 가령 창조의 신 프타는 파괴의 여신 세크메트의 남편이며, 하늘의 여신 누트는 땅의 신 게브의 아내이다. 그들은 3명이 하나로 묶이기도 하였는데, 이는 아버지와 어머니, 아이로 이루어진 3인 가족 형태를 신화에서 따온 것으로 보인다. 신들이 더 큰 무리를 이루는 때도 있었으며, 8명의 창조신이 무리를 이룬 오그도아드나 9명의 신으로 이루어진 엔네아드 등이 그 경우다. 다수의 비주류 신들이 낮과 밤의 기준에 따라 연대되는 경우도 있었다.[60]

신들 간의 연대는 혼합주의 과정 속에서 최소 2명의 신이 자웅동체의 모습으로 묘사되는 경우도 보인다. 이집트인들은 외국의 신과 자국의 신을 합치기도 하였고, 때때로 이 혼합주의는 하나의 신 안에 여러 인격체를 포함함으로써 하나의 신으로부터 여러 종류의 관점을 보이게 하는 때도 있다. 가령 바람과 공기의 신 아문과 같은 경우에는 투탕카멘 치하에 테베의 사제들에 의하여 태양신 와 함께 아문-라로 합쳐졌으며, 그 결과 자연 세계에서 보이는 그 무엇보다도 더 강력한 숨겨진 힘을 상징하는 신으로 숭배받았다.[61]

3. 3. 이집트 종교의 일신교 풍조

이집트 신왕국 시대에 아문 신앙은 일신교 사상에 가장 근접했었다.[62] 태양신 와 합쳐져 아문-라가 되고 보이지 않는 모든 힘의 절대자로서 정체성을 가지게 되었고, 그 결과 모든 신이 궁극적으로 "보이지 않는 힘"의 양상을 보이게 되었다.[63][64]

아문 사상에 기반을 둔 이집트의 문학 작품에서는 그 어떠한 신에 대한 언급도 없는데, 이에 대해 많은 이집트학자는 전통적으로 다신교인 이집트 종교가 일신교로 가려는 경향이 보인다고 주장한다. 이집트 학자인 에릭 호르눙은 이집트 종교가 절대 완벽한 다신교가 아니라고 10년간 주장하였는데, 이집트의 많은 글에서 특별한 신을 지칭하는 "유일한" 또는 "모든 존재들의 군주"와 같은 글에서 그러한 면이 보인다고 지적하였다. 그는 더 나아가 이집트인들이 일반적으로 "신"이나 "무엇이든지 신이 원하는 대로"라는 용어들을 사용하였다고 주장하였다.[65] 그의 논쟁은 이집트 종교를 순수한 다신교로 보기에는 무리가 있음을 알린다.[66]

최근에는 제임스 앨런과 얀 아스만과 같은 학자들도 이집트인들이 어느 정도 단 하나의 신만을 인정했을 것이라고 시사한다.[67][68] 앨런의 절충안은 이집트인들이 혼합주의 과정 속에서 다신교와 일신교를 동시에 섬겼다는 주장에 도달한다. 이 관점에서 보자면, 이집트의 신학은 본질적으로 다신교의 형태 속에서 유일신을 인정했을 수도 있음을 보인다. 또한, 보통의 이집트인들은 자신들의 기호에 따라 여러 신 중 하나의 신만을 믿는 일신숭배를 했을 가능성도 있다.[67][69]

3. 4. 아톤주의

신왕국 시대의 파라오 아크나톤은 왕권까지 위협하는 아문 사제들의 권력을 견제하기 위하여 기존 다신교를 폐지하고 아톤(아텐)을 유일신으로 하는 일신교를 국교로 삼았다. 아톤은 태양 원반, 광선으로 묘사된다.[70] 그러나 이 조치는 이집트 전통과 맞지 않았고,[71] 아톤의 비인격적인 본성은 이집트인들에게 매력이 없었다. 결국 이 신앙은 아크나톤 사후 다신교로 복귀했으며, 아크나톤은 이교도로 비난받았다.[72] 아톤 신앙은 유일신 신앙으로서 학계의 주목을 받았으나, 유대교와의 연관성은 입증되지 않았다.

태양 원반으로부터 발광하는 특별한 광선을 비추는 아톤을 숭배하는 모습을 그린 아크나톤과 그의 가족


신왕국 종교 전통은 기원전 1350년에 아멘호테프 4세가 파라오가 되면서 깨졌는데, 그는 아톤이라는 유일신으로 아문의 신적 지위를 교체했고, 자신의 이름도 '아톤의 종'이라는 뜻의 아크나톤으로 개명하였다. 또한, 이집트 수도를 새로 지은 아마르나로 천도했다. 고고학자들과 미술사학자들은 이 시대를 아마르나 시대라고 부른다. 아크나톤은 전례가 없는, 아톤의 외관으로써 태양 그 자체를 숭배의 유일한 매개자로 섬겨 달라고 요구하였는데,[198] 아톤주의는 발전한 신화관이나 신학 바탕도 없었고 비인격성과 그로 인한 거리감 때문에 이집트인들에게 감흥을 끌지 못했다.[199] 일반 민중 사이에서는 여전히 비밀리에 기존 신앙을 믿었다.[200] 그럼에도 고대 이집트 정부는 이집트 사회의 기반이 되는 다른 신들에 대한 금전적 지원과 투자를 중단했다.[201] 민중의 지지가 없었던 아텐주의 신앙은 결국 아크나톤 사후, 그의 후계자인 투탕카멘이 모든 아텐주의 기념물을 파괴하고 전통 신앙을 부활시킴으로써 끝을 맺었다.[202]

아마르나 시대의 결과물들을 후대 파라오들이 제거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는데도, 장기간에 걸쳐 파라오의 종교에 영향을 끼치며 쇠퇴했다. 아톤주의 신앙이 끝난 후 그에 대한 사회적 반동 때문에 대중들은 평상시에도 더 직접적인 방법으로 신들을 믿었고, 그로 인해 파라오의 신성은 줄고 인간성이 더욱 부각되었다. 더군다나 아몬 신앙 부활로 말미암아 테베 사제들의 권력은 더욱 신장했고, 이는 신왕국 몰락을 가져오는 결과를 초래했다.[203]

아케나텐은 태양 원반 아텐을 숭배하기 위해 다른 신들에 대한 공식적인 숭배를 폐지했다. 이것은 역사상 최초의 진정한 일신교 사례로 여겨지지만, 아텐주의 신학 세부 사항은 여전히 불분명하며, 일신교라는 주장은 논쟁의 여지가 있다. 숭배에서 단 하나의 신을 제외한 모든 신을 배제한 것은 이집트 전통에서 급진적인 이탈이었으며, 일부는 아케나텐을 일신교라기보다는 일신숭배 또는 일자신교의 실천자로 본다.[7][8] 그는 다른 신들의 존재를 적극적으로 부인하지 않았고, 단지 아텐 외에는 어떤 신도 숭배하지 않았다. 아케나텐의 후계자 아래 이집트는 전통적인 종교로 되돌아갔고, 아케나텐 자신은 이단자로 경멸받게 되었다.

3. 5. 우주론과 창조론

이집트의 우주관은 "마아트"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는데, 이 단어는 "진실", "정의", "질서"와 같은 여러 개념을 포괄한다. 이는 우주와 인간 사회 모두에서 고정되고 영원한 우주의 질서였으며, 종종 여신으로 의인화되었다. 이는 세상의 창조 이후부터 존재해 왔으며, 이것이 없으면 세상은 응집력을 잃을 것이다. 이집트 신앙에서 "마아트"는 무질서의 세력으로부터 끊임없이 위협받았기 때문에 사회 전체가 이를 유지해야 했다. 인간적인 수준에서 이것은 사회의 모든 구성원이 협력하고 공존해야 함을 의미했고, 우주적 수준에서 이것은 자연의 모든 힘, 즉 신들이 균형을 유지하면서 계속 기능해야 함을 의미했다.[3] 이 마지막 목표는 이집트 종교의 핵심이었다. 이집트인들은 제물을 통해 신들을 부양하고 무질서를 막고 자연의 순환을 영속시키는 의식을 수행함으로써 우주에서 "마아트"를 유지하려고 했다.[4]

이집트의 우주관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시간의 개념이었는데, 이는 "마아트"의 유지와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시간의 선형적 흐름을 통해 "마아트"가 원래의 창조를 반영하는 주기적인 사건에 의해 갱신되는 순환적 패턴이 반복되었다. 이러한 사건들 중에는 매년 일어나는 나일강 범람과 한 왕에서 다른 왕으로의 계승이 있었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태양신 라의 매일의 여정이었다.

우주의 모양에 대해 생각할 때, 이집트인들은 땅을 신 게브가 의인화된 평평한 땅으로 보았고, 그 위에는 하늘 여신 누트가 아치형으로 덮여 있었다. 이 둘은 공기의 신인 슈에 의해 분리되었다. 땅 아래에는 평행한 지하 세계와 하위 하늘이 있었고, 하늘 너머에는 창조 이전에 존재했던 혼돈과 원시의 물 심연인 누가 무한하게 펼쳐져 있었다. 이집트인들은 또한 죽음과 부활과 관련된 신비로운 지역인 두아트라는 장소를 믿었는데, 이는 지하 세계나 하늘에 있었을 수 있다. 매일 라는 하늘의 밑면을 가로질러 땅 위를 여행했고, 밤에는 두아트를 통과하여 새벽에 다시 태어났다.[5]

이집트 신앙에서 이 우주에는 세 종류의 지각 있는 존재가 살고 있었다. 하나는 신이었고, 다른 하나는 신성한 영역에 존재하며 신의 많은 능력을 가진 죽은 인간의 영혼이었다. 살아있는 인간은 세 번째 범주였고, 그 중 가장 중요한 사람은 인간과 신성한 영역을 연결하는 파라오였다.

여신들이 창조의 둥근 언덕 주변으로 원시의 물을 쏟아붓고 태양이 떠오르다


누트가 창조의 물에서 갓 태어난 태양과 함께 태양의 배를 들어 올리다.


가장 유명하고 우세했던 헬리오폴리스의 천지창조 신화는 라의 강력한 역할을 강조했다. 이 신화에서는 라와 우주의 신들, 그리고 다른 신들과의 관계가 명확하게 설명되어 있다. 하늘과 땅, 바람, 태양, 달, 별들과 같은 자연의 신들은 이 신화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우주신이 아닌 신들은 작은 역할만을 담당한다. 이 신화의 주요 자료는 피라미드 텍스트이다.

이 신화는 대구주신(라-아툼, 슈, 테프누트, 게브, 누트, 오시리스, 이시스, 네프티스, 세트)과 소구주신(호루스의 지휘 아래 소규모 신들)의 두 그룹을 다룬다.

멤피스의 신관들은 자신들의 신 프타를 붕과 동일시하고 프타를 중심으로 발전시킨 멤피스 신학을 만들어 헬리오폴리스 신화에 대항했다. 헤르모폴리스는 헬리오폴리스 신학과 멤피스 신학에 이은 세 번째 신학의 중심이 되었다. 이 땅에서는 신화가 서로 모순 없이 다양한 형태를 취하며, 그 지역과 주요 신들의 우세를 확립하려 했다.

그 외에도 신왕국 시대 테베의 창조 신화와 같이 다른 신들과 결합된, 그다지 중요하지 않은 신화도 있었다.

3. 6. 신성한 파라오

고대 이집트인들은 왕권도 자연의 힘이라고 보았다.[78] 파라오는 인간이자 신이 인간의 육체로 인간 세상에 내려온 신이라고 생각하였다. 그 결과 파라오는 이집트에서 사람과 신 사이의 매개자 역할을 하였다.[79] 그는 마트의 법칙을 받들어야 했으며, 적으로부터 국가를 지키고, 공정해야 하고, 백성 간 갈등을 해결해야 하며, 식량 공급을 보장해야 하고, 신전 건축과 봉헌을 통하여 신을 달래는 임무를 수행해야 했다.[80] 신전 벽화에서는 종종 마트의 상징을 받드는 파라오들의 모습을 살펴볼 수 있다.[81] 이집트 신학적으로 파라오는 전 세계의 통치권을 가졌으며, 이집트뿐만 아니라 타국에서도 "왕"이라는 단어는 파라오만이 쓸 수 있었다.[82][83]

왕은 또한 이집트 특유의 혼합주의 속에서 다른 신들과 연계되었다. 파라오가 살아 있을 때는 왕권의 수호신인 호루스의 현신으로 일컬어졌다.[84] 파라오는 의 아들로서 라와도 연계되었는데, 이는 왕으로서 모든 자연의 힘을 다스린다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었다.[85] 아문과 라가 합쳐진 아문-라도 파라오와 융합된 적이 있었다.[86] 몇몇 여신들은 파라오의 "어머니"로서의 기능을 하였다.[87]

파라오가 죽으면, 왕은 완전한 신성을 갖게 되어 라와 죽음, 부활의 신이자 호루스의 아버지인 오시리스에게 직접적으로 융화된다.[88] 많은 장례 신전들은 신이 된 파라오에게 제물을 바치기도 하였다.[89]

호루스가 파라오 람세스 2세에게 생명을 바치고 있다.


카프레의 조각상. 호루스에게 안겨있다.

3. 7. 사후세계

이집트인들은 죽음과 사후세계에 대한 정교한 믿음을 가지고 있었다. 그들은 사람이 죽으면 '카'(Ka)라고 불리는 영혼, 즉 생명력이 몸에서 떠난다고 믿었다. 카는 살아있을 때 음식과 음료를 섭취했기 때문에, 죽은 뒤에도 영적인 본질을 유지하기 위해 봉헌물 등을 섭취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또한, 사람들은 자신을 다른 사람과 구별해주는 '인격'과 유사한 개념인 '바'(Ba)를 가지고 있다고 믿었다.[90] 바는 사람이 죽은 뒤에도 육체에 남는다고 여겨졌다. 이집트 장례식에서는 바를 육체에 남게 하고 카가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의식을 치렀다. 그리고 바가 다시 카와 합쳐지면, '아크'(Akh)로서 부활한다고 믿었다. 그래서 육체가 죽은 뒤에도 그대로 보존되는 것이 매우 중요했으며, 이집트 사람들은 매일 밤 바가 새로운 생명을 찾아 떠나 아침이 되기 전에 아크로 나타난다고 믿었다.[91]

후네페르 파피루스(기원전 1300년경, 제19왕조)에 묘사된 마아트의 전당에서의 심장 저울질


thumb]]

그러나 초기에는 파라오만이 바를 가질 수 있다고 믿었고,[92] 오직 파라오만이 죽은 뒤 신과 함께 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93] 귀족들은 파라오에게 무덤을 받아 그곳에 안치되면 파라오와 함께 사후세계로 들어갈 수 있었다.[94] 파라오는 죽으면 이집트 밤하늘에서 영원히 지지 않는 북극성 주변에 살게 된다고 믿었다.[95] 그러나 고왕국을 지나면서 오시리스 신앙과 태양신 의 부활이 중요해졌다.[96]

고왕국 후기와 제1중간기에는 바를 소유하고 천국에 갈 수 있는 자격이 모든 이집트인에게로 확대되었다.[92][93] 사후세계에 도달하기 위해 영혼은 심장 무게 달기 의식이라는 재판을 받기 전에 여러 위험을 피해야 했다. 이 재판에서 신(오시리스)은 죽은 자의 심장 무게를 마아트의 깃털 무게와 비교했다. 살아있을 때 악한 행동을 많이 했다면 심장은 깃털보다 무거워 암무트라는 괴물에게 먹혔다. 그러면 죽은 자는 영원히 사후세계에 들어가지 못했다. 하지만 선한 행동을 많이 했다면 저울은 평형을 이루고 죽은 자의 카와 바는 다시 합쳐져 아크가 된다고 믿었다.[97][80] 아크의 목적지에 대한 믿음은 시대에 따라 변했는데, 주로 의로운 죽은 자는 오시리스의 왕국이나 두아트라 불리는 서쪽 지평선 너머 사후세계에서 살게 된다고 믿었다.[98][99] 중왕국과 신왕국을 거치면서 아크는 살아있는 사람들의 세계도 여행한다고 여겨졌다.[100]

4. 이집트 종교의 문헌과 문학

이집트인들은 통일된 종교 경전은 없었지만, 다양한 종류의 종교 문서를 만들었다. 이러한 텍스트들은 이집트 종교 관행과 믿음에 대한 광범위하지만 여전히 불완전한 이해를 제공한다.

이집트인들은 신에게 도움을 요청하는 다양한 형식의 기도문과 찬송가를 남겼다. 이집트 제19왕조 시대의 기도문이 적은 수로 전해지지만, 신과 파라오를 찬양하는 내용이 주를 이룬다. 이 시들은 2행이나 3행으로 구성되어 종교 의식 중에 암송되거나 노래로 불렸을 것으로 추정된다. 기도문은 여러 신들에 대한 관점을 포함하며, 자연과 신화 간의 작용을 설명하여 이집트 신화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이다.[116]

이집트 문헌 중 가장 중요하고 광범위하게 보존된 것은 사후세계와 죽은 자의 영혼을 그린 장례 문헌이다.[117]


  • 피라미드 텍스트: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종교 문헌으로, 고왕국 시대 피라미드 벽에 새겨졌다. 파라오가 사후세계로 가는 데 마술적인 도움을 주기 위한 수백 개의 주문을 모은 것이다.[118][119] 이 주문들은 다양한 배열과 결합을 보이며, 몇몇 주문은 모든 피라미드에서 공통으로 발견된다.[120]
  • 관구문: 고왕국 말기 무덤 벽과 통로에서 발견된 장례 주문으로, 왕족뿐 아니라 관료나 귀족을 위한 주문도 포함한다. 신들의 지하세계와 위험에서 벗어나는 방법에 대한 기술이 담겨 있다.[121]
  • 사자의 서: 신왕국 시대에 주로 파피루스에 쓰였으며, 광대한 삽화와 그림이 그려져 있다.[122] 평민들의 무덤에 넣기 위해 민중문자로 쓰인 사자의 서도 발견되었다.[123]
  • 관문의 서, 동굴의 서, 암두아트: 신왕국 시대에 등장한 사후세계 관련 책들이다. 태양신 가 통과하는 두아트의 구조, 죽음의 왕국을 통과하는 영혼에 대한 이야기가 쓰여 있다. 초기에는 파라오의 무덤에 한정되었으나, 이집트 제3중간기에는 널리 사용되었다.[124][125]

4. 1. 이집트 신화

이집트 신화는 신들의 활동과 역할을 설명하는 은유적인 이야기로, 다양한 설화가 존재한다. 신화 이야기는 사원 도서관의 파피루스, 기도문, 장례 문헌 등에서 발견된다.[101][102]

가장 중요한 이집트 신화들은 이집트 창조 신화이다. 몇몇 창조 신화에서 이집트 신화들은 공통적인 요소를 가지는데, 창조 과정이 진행되는 영원하고 생명이 없는 깊은 심연의 바다와, 이 바다에서 나온 첫 번째 신이 있었던 곳에 솟아난 "벤벤"이라는 언덕이다.[103] 그러나 이 창조 신화들은 각각 다른 신들에 초점을 맞춘다.

  • 어떤 창조 신화는 태초의 물을 구체화한 여덟 명의 신들인 오그도아드와 그들의 만남을 통해 우주의 창조가 유래하고 언덕이 나타났는지를 묘사한다.[104]
  • 다른 신화는 아홉 신들이 세상에 있는 자연의 힘을 상징하는 엔네아드로 결합하는 동안 언덕 위에 나타나는 첫 번째 신이 되려고 했던 아툼의 행동과 연관을 짓는다.
  • 또 다른 신화는 세상의 창조 원리를 처음 생각해낸 아문에 의해 세상의 만물을 구상하고 이름을 붙임으로써 단순하게 세상을 창조하는, 언덕과 연관이 되어 있는 창조신 프타에 대해서 말한다.[105]


이러한 신화들은 신학적 충돌로 보일 수 있으나, 창조 과정에 대한 다른 관점을 보여주는 것으로 여겨진다.

오시리스이시스 신화도 주요 신화 중 하나이다.[108] 이 신화는 오시리스가 그의 조상인 태양신 로부터 이 세상의 지배권을 상속받았으나, 동생 세트의 시기로 살해당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109] 오시리스의 누이이자 아내인 이시스는 세트가 빼앗은 남편의 왕좌를 되찾기 위해 세트에 의해 토막 난 오시리스의 시신을 모아 부활시킨다. 오시리스는 사후세계에 들어가 죽은 자들의 통치자가 되고, 이시스는 그의 아들인 호루스를 출산한다. 성인이 된 호루스는 세트와 싸워 승리한다.[110] 세트는 혼돈을 상징하며, 오시리스와 호루스는 파라오를 수호하는 정의의 지배자를 의미한다.[111] 오시리스의 죽음과 부활은 나일 강의 범람 주기와 이집트 농업 순환,[112] 사후세계에 대한 인간의 부활과 관련이 있다.[113]

태양신 크눔(중앙)와 다른 신들이 태양의 돛단배를 타고 지하세계를 여행하는 모습


태양신 라는 지구 상 생물들에게 없어서는 안 될 존재이며, 가장 중요한 신들 중 하나이다. 신화에서 태양의 움직임은 하늘을 여행하는 태양의 돛단배로 설명되는데, 태양이 지는 것은 라가 사후세계에 들어갔음을 의미하며, 그동안 지상세계에는 밤이 찾아온다.[114] 사후세계를 여행하는 동안 라는 오시리스를 만나고, 그의 생명은 부활한다. 그는 매일 밤마다 혼돈을 만들고자 하는 거대한 뱀인 아펩과 싸우는데, 아펩을 이겨 오시리스를 만나면 다음날 아침 태양이 떠오르고 혼돈에 대한 질서의 승리와 부활을 의미한다.[115]

4. 2. 기도문

이집트인들은 여러 신들에게 도움을 요청하는 기도문을 남겼다. 비록 이집트 제19왕조 시대에 쓰인 기도문만이 적은 수로 전해지지만, 신과 파라오를 찬양하는 다양한 형식의 찬송가가 포함되어 있다. 이 시들은 2행이나 3행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종교 의식 중에 암송되거나 노래로 불렸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 시들은 여러 신들에 대한 관점을 포함하고, 자연과 신화 간의 작용을 설명한다. 따라서 기도문은 이집트 신화를 연구하고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이다.[116]

이집트인들은 시의 형태로 수많은 기도문과 찬가를 만들었다. 찬가와 기도문은 유사한 구조를 가지며, 주로 그 목적에 따라 구분된다. 찬가는 특정 신을 찬양하기 위해 쓰였다.[9] 의례문과 마찬가지로 파피루스에 기록되거나 사원 벽에 새겨졌으며, 아마도 사원 비문에 기록된 의례의 일부로 낭송되었을 것이다. 대부분은 주어진 신의 본성, 측면 및 신화적 기능을 설명하도록 설계된 일련의 문학적 공식을 따른다.[9] 이는 다른 이집트 종교 문헌보다 근본적인 신학에 대해 더 명시적으로 이야기하는 경향이 있으며, 특히 활발한 신학적 담론이 이루어졌던 신왕국 시대에 중요해졌다. 기도문은 찬가와 동일한 일반적인 패턴을 따르지만, 축복, 도움 또는 잘못에 대한 용서를 구하는 등 관련 신에게 더 개인적인 방식으로 접근한다. 이러한 기도문은 신왕국 이전에는 드물었는데, 이는 이전 시대에는 신과의 직접적인 개인적 상호 작용이 가능하다고 여겨지지 않았거나, 적어도 글로 표현될 가능성이 적었음을 나타낸다. 이러한 기도문은 주로 신성한 장소에 봉납물로 남겨진 조각상과 석비에 새겨진 비문을 통해 알려져 있다.[10]

4. 3. 장례 문헌

고대 이집트의 장례 문헌은 사후세계와 죽은 자의 영혼을 묘사한 것으로, 이집트인들의 사후 세계관과 장례 의식의 변화 과정을 보여준다.[117]

  • 피라미드 텍스트: 고왕국 시대에 피라미드 벽에 새겨진 가장 오래된 종교 문헌이다.[118] 파라오가 사후세계로 가는 데 마술적인 도움을 주기 위한 수백 개의 주문들을 모은 것으로,[119] 각 주문들은 다양한 배열과 결합을 보이며, 몇몇 주문들은 모든 피라미드에서 공통으로 발견된다.[120] 이 텍스트를 통해 고왕국 시대 말에 오시리스 신앙이 일어나 오늘날 알려진 명계의 신으로서의 모습이 갖춰진 것을 볼 수 있다.
  • 관구문 (코핀 텍스트): 고왕국 말기에 무덤 벽과 통로에서 발견된 장례 주문들이다.[121] 왕족뿐 아니라 관료나 귀족을 위한 주문도 포함되어 있으며, 신들의 지하세계와 위험에서 벗어나는 방법에 대한 기술이 담겨 있다.[124] 피라미드 텍스트에서 유래했으며, 이집트 제26왕조때 잠시 부활했다.
  • 사자의 서: 신왕국 시대에 주로 파피루스에 쓰인 장례 문헌으로, 광대한 삽화와 그림이 그려져 있는 것이 특징이다.[122] 평민들의 무덤에 넣기 위해 민중문자로 쓰인 사자의 서도 발견되었다.[123]
  • 기타: 신왕국 시대에는 관문의 서, 동굴의 서, 암두아트 등 사후세계와 관련된 책들이 등장했다.[124] 이 책들은 태양신 가 통과하는 두아트의 구조, 죽음의 왕국을 통과하는 영혼에 대한 이야기를 담고 있으며, 초기에는 파라오의 무덤에 한정되었으나 이집트 제3중간기에는 널리 사용되었다.[125]


고대 이집트 장례 문헌의 종류와 특징
문헌 종류시대특징주요 내용
피라미드 텍스트고왕국가장 오래된 종교 문헌, 피라미드 벽에 새겨짐파라오의 사후세계 여정을 돕는 주문
관구문고왕국 말기 ~ 이집트 제26왕조무덤 벽, 통로, 관에 새겨짐, 왕족 외에도 사용지하세계 안내, 위험 회피 방법
사자의 서신왕국파피루스에 기록, 삽화 포함, 평민도 사용사후세계 안내, 심판 준비
관문의 서, 동굴의 서, 암두아트신왕국 ~ 이집트 제3중간기초기에는 파라오 무덤 한정, 이후 널리 사용두아트 구조, 영혼의 여정 묘사


5. 이집트 종교의 의례

고대 이집트 사람들은 신들이 자연 현상을 조종할 뿐만 아니라, 자연 요소 속에 신성이 있다고 믿었다.[49] 이러한 믿음은 동물, 자연, 추상적인 요소까지 신으로 숭배하는 다신교 형태로 나타났으며, 이집트 종교는 신들에게 기도를 통해 인간에게 이로운 영향을 주고자 하는 의도를 포함하고 있었다.[52]

이집트 종교 의례는 다음과 같이 다양하게 나타났다.


  • 사제: 파라오는 이론상 이집트 신들의 대리자였기 때문에, 모든 신전의 사제들은 그의 명령 아래에 있었다.[86]
  • 축제: 고대 이집트인들은 다양한 종교적 축제를 거행했다. 대부분 1년 주기로 열렸으나, 비정기적으로 개최되는 경우도 있었다.
  • 신탁: 이집트인들은 지식이나 계시를 얻기 위해 신들에게 신탁을 물었는데, 이는 주로 신왕국 시대부터 시작되었다.
  • 마술: 고대 이집트인들은 헤카라고 불리는 마술을 자연 현상의 하나로 믿었으며, 이 힘은 우주를 창조하고 신들이 자신의 업적을 행하는 데 쓰인다고 생각하였다.[156]
  • 장례: 고대 이집트인들에게 시신 보존은 영혼(바)의 생존을 위해 매우 중요한 종교적 개념이었으므로, 장례의 핵심적인 부분이었다.


이집트 종교 의식 절차는 파피루스에 자주 기록되었으며, 주로 사원 서고에 보관되었다. 사원 자체에도 종종 삽화와 함께 그러한 텍스트가 새겨져 있었다.[17]

국가 숭배는 이집트 세계의 안정을 유지하기 위한 것이었지만, 일반 개인들은 일상생활과 더 직접적으로 관련된 자신만의 종교적 관습을 가지고 있었다. 민간 종교적 관습에는 삶의 중요한 전환점(출산, 작명, 장례 등)을 기념하는 의식이 포함되었고, 사람들은 마법 의식을 통해 신의 행동에 영향을 미쳐 자신에게 이익을 가져다주려고 했다.[18]

개인 이집트인들은 신에게 기도하고 개인적인 제물을 바쳤다. 이러한 개인적 경건에 대한 증거는 신왕국 이전에는 희소하며, 신왕국 말기에 더욱 두드러졌다.[10] 공식 신전은 일반인에게는 폐쇄되어 있었지만, 개인 기도와 제물을 위한 중요한 장소였다. 이집트인들은 종종 신전 신에게 바칠 물품과 신전 법정에 놓일 기도를 새긴 물건을 기증했고, 신전 조상 앞에서 또는 그들의 사용을 위해 마련된 신사에서 직접 기도했다.[17] 신전 외에도, 일반 대중은 공식 신전보다 작지만 접근성이 더 좋은 별도의 지역 예배당을 사용했다. 이 예배당은 매우 많았으며 아마도 지역 사회 구성원들이 운영했을 것이다.[19] 가구에도 신이나 죽은 친척에게 제물을 바치는 작은 신사가 있는 경우가 많았다.

이러한 상황에서 소환된 신들은 국가 숭배의 중심에 있는 신들과 다소 달랐다. 타웨레트, 베스와 같이 중요한 민간 신들은 자체 신전을 가지고 있지 않았다. 그러나 아문, 오시리스를 포함한 다른 많은 신들은 민간 종교와 공식 종교 모두에서 매우 중요했다. 어떤 개인들은 특히 한 신에게 헌신할 수 있었고, 종종 그들은 자신의 지역이나 삶의 역할과 관련된 신들을 선호했다. 예를 들어, 신 프타멤피스에서 특히 중요했지만, 장인의 수호신으로서 전국적인 숭배를 받았다.

5. 1. 신전

필라이에 있는 이시스 신전. 열주 뒤로 보이는 건축물이 탑문이다.


필레의 이시스 신전의 첫 번째 탑문과 열주


신전들은 이집트 선왕조시대 때부터 존재하였으며 문명의 발전에 따라 거의 모든 마을마다 신전들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126] 신전들은 신성한 파라오의 영혼을 섬기는 장제전과 지역 신을 모시는 신전으로 이루어져 있었는데[127], 이는 신격과 왕권을 밀접히 연관시키려 하였기 때문이다.[128] 다만 모든 신이 봉헌된 신전을 가지고 있었던 것은 아니었다. 많은 신이 광범위한 숭배를 얻지 못하였으며, 주로 가정에서 숭배되는 신들은 신전보다는 대중 숭배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다.[129]

신전들은 신들의 "집"으로써 봉사하였는데, 그들의 매개로써 작용하는 물질적인 상이 보관됐으며 제물이 바쳐졌다.[130] 이 봉사들은 신을 떠받드는 데에 꼭 필요한 것으로 믿어졌고, 그래서 그 봉사들은 유지됐다.[131] 신전들은 이집트 사회의 중심점이었기 때문에 막대한 자원들이 신전의 유지를 위하여 쏟아부어졌다.[132] 파라오들도 신들의 영광을 고양하는 의무를 위하여 신전 건축과 재정 지원을 하였기 때문에, 많은 신전이 세계에서 가장 큰 종교 건축물인 카르나크아문 신전처럼 빠른 속도로 금전적으로나 실질적으로 거대해질 수 있었다.[133]

이집트 신왕국에서는 이집트 고왕국이집트 중왕국의 신전들로부터 발전한 구체적인 기본 신전 설계가 등장하였다. 변화들과 함께 이 계획은 그 시대에 지어진, 오늘날 여전히 남아있는 신전 대부분에 사용되었다.[134] 이 표준적인 설계에는 동쪽을 향하는 중심축을 따라 정렬되어, 가장 일반적으로 나일 강을 따라서 신전이 지어졌다.[135] 신전들의 주요 입구는 보통 행렬식이 신전을 둘러싼 벽을 통과하여 오는 방향인 나일 강 쪽으로 지어졌다. 신전의 주 입구를 통과하면 대체로 하나의 혹은 더 많은 탑문(파일론)을 또 다시 통과하여야 했다. 이 파일론들을 거치면 열주로 이루어진 안마당이 나오는데, 이 안마당은 보통 봉헌물을 배달하고 사제들이 만나는 장소였다. 안마당을 지나면 많은 기둥으로 천장을 떠받친 거대한 방이 위치하고, 그 뒤로는 사원이 있었다. 이 모든 것을 둘러싸는 보조방들은 신전에서 매일 행해지는 종교의식을 위하여 사용됐다.[136]

탑문과 안마당, 열주들을 통과하여 신성한 사원에 도달하는 신전의 구조는 인간의 세상에서 신의 세상으로 가는 여정을 의미한다. 사원은 신전에서 가장 신성한 장소이며, 신전이 모시는 신의 성상들이 모셔져 있다.[137] 사원으로의 접근은 주로 파라오와 고위 성직자들에게만 허용되었다.[138] 종교의식의 봉헌물은 전통적으로 파라오가 직접 혹은 파라오를 대리하는 사제들에 의하여 아침과 저녁에 바쳐졌다. 이 종교의식에서 파라오나 사제들은 신의 석상을 씻고, 성유를 바르고 공들인 의복을 입히며 음식을 바쳤다. 그 후에 신이 제물의 영적인 본질을 모두 소모하였다고 판단되면, 바쳐졌던 제물들을 사제들이 나누어 가졌다.[139] 매일 바쳐지는 제물의식을 비롯하여 해마다 있는 축제에서도 종교의식을 치렀으며 특별한 상황에서는 보기 드문 종교의식을 행하기도 하였다.[131] 이 많은 종교의식은 신들의 형상을 다른 신성한 장소로 운송하는, 무질서의 힘을 파괴하는 의미[140]나 새로운 교리를 공표하는 의미[141]가 있는 행렬을 포함하였다.[142]

신전들은 자신들의 소유지를 통한 수입뿐만 아니라 지방의 관리나 군주들에게 재정적 지원을 받았다. 이 소유지들에 포함된 토지나 농장, 정원, 광산, 채석장, 장인조합 등은 신전의 필요에 따라 생산물을 봉납하였다. 거대한 신전들은 종종 수천 명에 다다르는 사람들을 고용할 정도로 중요한 경제적 중심지이기도 하였다.[143]

5. 2. 사제

파라오는 이론상 이집트 신들의 대리자였기 때문에, 모든 신전의 사제들은 그의 명령 아래에 있었다.[86] 고왕국과 중왕국 동안에는 별도의 사제 계급이 없었고, 정부 공무원들이 1년 중 몇 달 동안 세속에서 떠나 신을 섬겼다. 신왕국에 들어서면서 전문적인 사제들이 나타나기 시작했지만, 대부분의 낮은 직위의 사제들은 여전히 시간제로 일했다. 파라오는 신들의 대리자로서 모든 사제에 대한 임명권을 가졌다.[144] 그러나 신전의 부가 축적되면서 사제들의 영향력도 커져 파라오를 위협할 정도가 되었다.[145] 결국 제3중간기에는 아문 신을 섬기는 테베의 사제들이 상이집트를 통치하기에 이르렀다.[146]

각 신전마다 사제들은 다양한 직위와 종류가 있었다. 신전 밖에서 평민들의 장례식을 돕는 사제들도 있었고,[147] 신전에서 기도문과 주술을 암송하고 연구하며 장례식을 집례하는 성직자들도 있었다.[148] 가장 높은 직위의 성직자는 '신들의 첫 번째 종'이라 불렸는데, 이 관직은 종종 아버지에게서 아들에게 세습되었다. 신전들은 농부, 장인, 음악가, 성가대 등 많은 외부인을 고용했으며, 이들 모두에게 신전의 수익으로 월급을 주었다.[149]

사제들은 주로 남성이었다. 고왕국 시대에는 많은 여성이 여신을 위한 신전에서 성직을 맡았지만, 중왕국 시대에는 여성들의 공직 업무가 현저히 줄어들었고, 후기에는 더 적은 수의 여성들이 신전에서 활동하였다.[150] 다만, 제3중간기에는 중요한 여성들이 아문 신을 비롯한 신들의 종교 의식에 참여하였다.[151]

사제들은 성직에 있는 동안 엄격한 청렴도를 준수해야 했다. 머리와 몸을 모두 면도해야 했으며, 늘 깨끗한 옷을 입고 하루에도 몇 번씩 씻어야 했다. 반드시 독신이어야 할 필요는 없었지만, 육체 관계는 정신적 순수함에서 멀어진다고 여겨 꺼렸다.[152]

5. 3. 축제

고대 이집트인들은 다양한 종교적 축제를 거행했다. 대부분 1년 주기로 열렸으나, 비정기적으로 개최되는 경우도 있었다. 새해맞이 축제와 같은 큰 행사는 이집트 전역에서 이루어졌지만, 대부분은 특정 신전이 있는 지역에서만 열렸다. 신전에서 주최하는 축제는 신의 조각상을 배 모양의 가마에 싣고 신전 밖으로 행진하는 의식을 포함했다. 일반인들은 사제들과 함께 이 의식을 축하하며 행렬을 구경하거나, 신에게 특별한 봉헌물을 바쳤다. 몇몇 축제는 파라오의 왕권 숭배 의식을 주제로 삼았는데, 대관식이나 세드 축제, 파라오의 부활 기원 등이 포함되었다.[153]

전국적으로 거행되는 의식과 특정 사원 또는 특정 신의 사원에 국한된 의식을 포함하여 수많은 사원 의식이 있었다. 일부는 매일 수행되었고, 다른 일부는 매년 또는 드물게 수행되었다.[13] 가장 일반적인 사원 의식은 매일 아침 공양 의식이었는데, 고위 사제나 파라오가 신상(神像)을 씻고, 성유를 바르고, 화려하게 옷을 입힌 다음 공물을 바쳤다. 그 후, 신이 공물의 정신적인 본질을 소비하면, 공물 자체는 사제들에게 분배되었다.[12]

덜 빈번한 사원 의식이나 축제는 여전히 수없이 많았으며 매년 수십 개가 열렸다. 이러한 축제에는 종종 신에게 단순한 공물을 바치는 것 외에 특정 신화의 재연 또는 무질서 세력의 상징적 파괴와 같은 행동이 포함되었다.[14] 이러한 행사의 대부분은 아마도 사제들만 기념했으며 사원 안에서만 열렸을 것이다.[13] 그러나 오페트 축제와 같이 가장 중요한 사원 축제는 일반적으로 신의 이미지를 성소에서 모형 바크에 실어 관련 신의 사원과 같은 다른 중요한 장소를 방문하는 행렬을 포함했다. 평민들은 행렬을 보기 위해 모였고, 때로는 이 기회에 신들에게 바쳐진 유난히 많은 공물의 일부를 받았다.

아멘 신전(아멘-라 신전)으로 알려진 카르나크 신전이집트 제12왕조 시대에 건설이 시작되었다. 이 신전군 내부에는 무트, 콘수, 프타, 멘투 등과 같은 신들에게 바쳐진 신전도 있었다. 이 신전들은 원래는 별개의 성역이었으나, 이 신들이 아멘-라의 삼신군을 형성했기 때문인지, 혹은 그 지방적 중요성이 테베에서의 아멘-라의 우위를 위협했기 때문인지, 아멘 신전군의 일부로 편입되어 아멘 신관단의 감독 하에 놓이게 되었다.

아멘, 무트, 콘스 등에 바쳐진 카르나크 신전과 남쪽에 있는 다른 신전 사이는 제례 행렬이 통과하는 참도로 연결되어 있었다. 오늘날 룩소르 신전으로 알려진 이 신전은 고대에는 "남쪽의 하렘"이라고 불렸다. 이는 이 신전이 아멘의 아내인 무트의 거처로 여겨졌기 때문이다.

아멘은 일 년에 한 번, 이 신전에 사는 무트의 곁을 방문했다. 이때, 신관들은 아멘의 상을 카르나크에서 룩소르까지 운반했다. 이 행렬은 오페트 대제라고 불린다. 이 대제의 모습은 룩소르 신전의 벽면에 그려져 있다. 이 행렬은 황금 성주(聖舟)에 실린 아멘의 상을 남쪽의 하렘인 룩소르 신전으로 운반했다. 여기서 24일 동안 아멘은 아내와 함께 시간을 보낸 후, 그 상은 카르나크에 있는 원래의 거처로 다시 돌아갔다[40]

5. 4. 신탁

이집트인들은 지식이나 계시를 얻기 위해 신들에게 신탁을 물었는데, 이는 주로 신왕국 시대부터 시작되었다. 파라오를 포함한 모든 계층의 사람들이 신의 계시를 듣고자 하였고, 특히 신왕국 후기에는 신탁에 의해 국정 방향이 바뀌는 등 왕권 및 내정에 강력한 영향을 끼쳤다.[154]

일반적으로 신탁을 받는 방식은 축제 때 신의 형상을 안치한 돛단배의 움직임을 해석하는 것이었다. 다른 방식으로는 동물 숭배, 제비뽑기, 신의 조각상을 대변하는 사제의 발언 등을 통한 신탁이 있었다. 이는 신들이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하여 사제를 통해 신의 메시지를 전한다는 의미였다.[155]

5. 5. 마술

고대 이집트인들은 헤카라고 불리는 마술을 자연 현상의 하나로 믿었으며, 이 힘은 우주를 창조하고 신들이 자신의 업적을 행하는 데 쓰인다고 생각하였다.[156] 인간들도 헤카를 사용할 수 있었으나, 마술 연습은 종교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었다.[157]

마술은 사제들과 매우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었다. 신전 도서관에는 다수의 마술 주문서들이 소장되어 있었고, 많은 주문이 신전의 책들 내용 문맥에서 쉽게 발견되었다.[160] 이 마술 지식은 책들을 연구하는 사제들에 의해 축적되었으며, 종종 신자들을 위해 사용되었다.[160] 또한, 일반적으로 마술은 사람들을 치유하거나 마술이 깃든 장신구를 만들 때 사용되었다. 농민들도 풍작을 기원하기 위해 간단한 마술을 사용했는데, 이 마술 지식은 주로 입에서 입으로 전해졌기 때문에 관련 자료는 현대에 거의 남아있지 않다.[161]

마법적 상징인 호루스의 눈 모양의 부적


"마법"이라는 단어는 이집트 용어인 ''헤카''를 번역한 것으로, 제임스 P. 앨런은 이를 "간접적인 수단을 통해 일을 성사시키는 능력"이라고 표현했다.

''헤카''는 인간도 사용할 수 있었고, 마법적 행위는 종교와 밀접하게 얽혀 있었다. 신전에서 수행되는 정규 의식조차도 마법으로 간주되었다. 개인들도 개인적인 목적으로 마법 기술을 자주 사용했는데, 주로 부정적인 사건을 예방하거나 극복하는 방법으로 여겨졌다.[20]

사찰 서고에는 수많은 마법 텍스트가 있었고, 이러한 텍스트를 연구한 강독 사제들에게 엄청난 마법 지식이 부여되었다. 이 사제들은 평신도들에게 마법 서비스를 제공하기도 했다. 의사, 전갈 퇴치사, 마법 부적 제작자 등 다른 직업들도 업무의 일부로 마법을 사용했다. 농민들이 자신들의 목적으로 간단한 마법을 사용했을 가능성도 있지만, 이에 대한 증거는 제한적이다.

언어는 ''헤카''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필경의 신인 토트가 ''헤카''의 발명가로 여겨지기도 했다. 마법은 문자나 구두 주문을 포함하기도 했지만, 의례적인 행동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았다. 종종 이러한 의식은 적절한 신을 불러내어 ''헤카''의 힘을 사용하여 신이 행동하도록 강요했다. 때로는 실천자 또는 의식의 대상에게 신화 속 인물의 역할을 부여하여, 신이 그 사람에게 신화에서처럼 행동하도록 유도했다.

의식은 의식의 대상과 마법적으로 중요한 유사성이 있다고 여겨지는 물체를 사용하는 공감 마법을 사용하기도 했다. 이집트인들은 마법적으로 보호하는 부적과 같이, 스스로 ''헤카''가 깃들었다고 여겨지는 물건들을 흔히 사용했다.

5. 6. 장례

고대 이집트인들에게 시신 보존은 영혼(바)의 생존을 위해 매우 중요한 종교적 개념이었으므로, 장례의 핵심적인 부분이었다. 본래 이집트인들은 시신을 사막에 묻어 미라로 만들었는데, 초기 왕조 시대부터 무덤을 사용하면서 인공적인 미라 제작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162]

미라 제작 과정은 시신의 내장을 제거하고 천연탄산소다로 건조시킨 후 아마포로 감싸 관에 넣는 방식이었다. 이 과정은 비용에 따라 달랐으며, 이집트 신왕국 시대에도 완벽하게 개발되지는 못했다.[162][163]

무덤에 관을 묻기 전 '입을 여는 의식'을 치르는 모습


미라화가 끝나면, 사제들이 이끄는 장례 행렬을 통해 미라를 무덤으로 옮겼다. 무덤 입구에서는 사제가 '입 열기 의식'을 포함한 여러 종교 의식을 치렀다. 이 의식은 죽은 사람이 봉헌물을 받을 자격을 인정해주는 의식이었다.[164] 이후 미라는 안치되고 무덤은 봉인되었다. 친인척이나 사제는 무덤 입구 앞에 음식을 바쳤지만, 대부분의 무덤은 한두 세대가 지나면 잊혀졌다.[165]

이집트의 첫 무덤은 파라오나 귀족을 위한 마스타바였다. 고왕국의 마스타바는 피라미드로 발전했는데, 피라미드는 왕족에게 제한되었고 거대한 시체 안치소를 포함했다. 중왕국 파라오들은 작은 규모의 피라미드를 지었지만, 석실 분묘가 대중화되면서 피라미드 건축은 쇠퇴했다. 평민들은 시체 안치소와 예배당이 분리된 석실에 매장되었고, 신왕국 시대에는 파라오들도 이러한 무덤에 매장되었다.[166]

고양이 미라


시신은 죽은 자의 조각상,[167] 내장을 담은 항아리[168] 등과 함께 무덤에 묻혔다. 부유한 자들의 무덤에는 비싼 가구, 옷, 귀금속 등이 함께 매장되었다.[170] 또한 무덤 벽화, 수의, 파피루스 등에 새겨진 장례문헌을 통해 사후세계에 안전히 도착하기를 기원했다.[171]

고대 이집트인들은 신들이 동물의 모양을 할 수 있다고 믿었기 때문에, 애완동물이나 야생동물을 미라로 만들어 매장하기도 했다.[172]

6. 이집트 종교의 역사

고대 이집트 종교는 지중해권의 다른 종교들과 달리 하나의 확실한 교리나 믿음에 기초하고 있지 않다. 대부분의 신은 당시 사람들에게 괴이하게 느껴졌던 자연의 모습에서 출발하였으며, 몇몇 신들은 타민족들이 믿던 신으로서 이집트 종교에 포섭되기도 하였다. 그래서 이집트 신화는 그리스 신화와 같이 짜임새 있는 신화가 아니다. 각 주요 신전이 있는 도시나 시대마다 같은 신이라도 신화나 능력이 달라졌으며, 심지어 창조 신화들도 달랐다.[46] 초기의 이집트 종교는 인간과 신 사이의 관계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으나,[47] 후기로 가면서 왕권과 신들의 능력에 초점이 맞추어졌으며 그 양상도 달라졌다. 하지만, 사후세계와 태양신 의 권력 등 몇 가지 신앙은 거의 모든 이집트 지역에서 공통으로 믿어졌다.[48]

무덤 벽화에 그려진 오시리스, 아누비스, 호루스


고대 이집트 사람들은 모든 자연의 움직임과 원리에 신들의 힘이 작용한다고 보았다. 그들은 단지 신들이 자연 현상만 조종하는 것뿐만 아니라 그 자연의 요소 속에 신성이 있다고 믿었다.[49] 이 원리는 동물들도 포함하여, 파괴의 여신 세크메트는 사나운 동물로 여겨진 암사자의 얼굴을 하고 있었으며, 공기나 습기, 땅과 같은 요소도 신으로 섬기어, 공기와 공간의 신 나 습기의 여신 테프네트와 같은 신들도 숭배대상이 되었다. 또한, 이집트의 신들은 추상적인 요소도 포함하고 있는데, 호루스는 파라오의 왕권을 상징하였다.[50]

고대 이집트 예술에서 신들은 '미지'와 '신비'의 모습으로 묘사되어야 한다고 믿었다. 그래서 신들을 자연의 상징물에 비유함으로써 추상적인 신들을 알아볼 수 있는 형태로 그렸다.[54][50] 예를 들어 죽음의 신 아누비스는 인간들의 시신을 훼손하여 먹이를 먹는 자칼의 머리를 한 모습으로 묘사되었다. 그의 검은 피부는 고기를 바짝 말린 색의 상징이자 이집트 사람들이 부활의 상징으로 보았던 기름진 검은 토양의 색이다.[55]

고대 이집트 초기의 많은 신은 고대 이집트에서 중요하게 여겨졌던 숭배 도시들과 엮여 있었는데, 시간이 흐르면서 신의 신앙이 처음 탄생했던 도시와 관계없어지는 경우도 많았다. 테베의 초기 수호신은 몬수였으나 중 왕국에 들어서 다른 지역에서 유래한 바람의 신 아문이 테베의 수호신이 되었다. 초기 왕조의 수도 사이스의 지역 수호 여신이었던 네이트는 후기에 역할이 변형되어 포괄적인 수호의 여신이자 저승의 여신이 되었다.[56]

신왕국(기원전 1570~1070년)시대의 파라오 아크나톤은 왕권까지 위협하는 아문 사제들의 권력을 경계하기 위하여 기존 다신교를 폐지하고 일신교를 국교로 삼았다. 아톤(아텐)은 그 일신교의 유일신으로서, 태양의 원판, 광선으로 묘사되었다.[70] 하지만, 이 조치는 이집트 전통과 반대되었고,[71] 아텐의 비인격적인 본성은 이집트인들에게 매력이 없었다. 그래서 이 신앙은 아크나톤의 사후, 다시 다신교로 돌아갔으며 아크나톤은 후대 이집트인들에게 이교도로 비난받게 되었다.[72]

람세스 2세의 거상


고대 이집트 인들은 왕권도 자연의 힘이라 보았다.[78] 파라오는 인간이자 신이 인간의 육체로 인간 세상에 내려온 신이라고 생각하였다. 그 결과 파라오는 이집트에서 사람과 신 사이의 매개자 역할을 하였다.[79]

이집트 국립 박물관에 소장된 투탕카멘의 관속 가면


이집트 인들은 죽음과 사후세계에 대한 정교한 믿음을 가지고 있었다. 그들은 사람의 머리를 가진 '새'로 표현되는 '카'(Ka)라 불리는 인간의 영혼이나 생명의 힘이 몸에서 떠나면 죽는다고 믿었다.

6. 1. 선왕조

고대 이집트 종교는 선사 시대부터 이어져 내려왔으며, 그 흔적은 장례 매장 방식과 동물 숭배 등에서 찾아볼 수 있다.[22] 이집트 선왕조 시대의 신중한 매장은 이 시대 사람들이 사후 세계를 믿었다는 것을 보여준다.[22] 이와 함께 동물들을 의례적으로 매장했는데, 이는 후기 종교에서 나타나는 동물 형상 신들의 발전을 반영하는 행위일 수 있다.[173]

나르메르, 여러 지역 신들의 깃발을 든 사람들과 함께 있는 선왕조 시대의 통치자


나르메르의 팔레트. 암소의 뿔과 귀를 가진 여성의 얼굴은 팔레트 상단에 두 번 나타나며, 호루스를 나타내는 매는 팔레트 오른쪽에 나타난다.


초기 이집트 시대에는 사람이나 신의 모습을 재현한 토우들도 발견되었는데, 이를 통해 동물 형태의 신들보다 사람 모습을 한 신들의 출현이 더 늦은 것으로 추정된다.[174] 학자들은 초기 이집트의 종교가 지역마다 다른 신들을 섬겼으나,[175] 이 작은 지역들이 서로 정복하고 정복되면서 서로의 신들이 각각의 신화에 편입된 것으로 보고 있다. 이 이론은 고대 이집트 종교가 복잡한 다신론적인 종교로써 어떻게 지역의 수호신들이 전국의 보편적인 신으로 자리 잡게 되는지 설명해준다.[176]

초기 왕조 시대는 기원전 3000년경 이집트의 통일과 함께 시작되었다. 이 사건은 이집트 종교를 변화시켰는데, 일부 신들이 국가적으로 중요해지고 신성한 파라오 숭배가 종교 활동의 중심이 되었기 때문이다.[15] 이집트 제1왕조의 파라오들과 같은 초기의 왕들은 막대한 돈과 인원이 투입된 무덤에 매장되었는데, 당시에는 사후세계에서 왕의 시중을 들어줄 사람을 같이 매장하는 순장 제도가 있던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매장 방식은 왕족의 장례의식이 얼마나 중요했는지 설명한다. 고위 관료들과 귀족들은 하급의 무덤에 매장되었다.[178]

고고학적 자료는 이집트 종교 체계가 동아프리카 인구와 밀접한 문화적 친족 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메소포타미아 또는 지중해 지역에서 파생되기보다는 아프리카 기층에서 유래했음을 시사한다.[23][24][25][26]

6. 2. 고왕국과 중왕국

제드카레 이제지의 피라미드 단지


고왕국 시대에 주요 신들의 사제들은 각기 다른 신화와 문화를 가진 여러 신을 단체로 묶어 조직화하려 했다. 헬리오폴리스의 엔네아드처럼 하나의 숭배 중심지에서 숭배하려 했으며, 엔네아드는 아툼, , 오시리스, 세트와 같은 중요한 신들을 하나의 창조 신화로 연결했다.[179][180][181] 고왕국 시대에는 왕족이 아닌 귀족들은 여전히 석실 분묘에 묻혔지만, 파라오들은 피라미드를 석실 분묘 대신 사용했다.[182] 피라미드는 거대한 장례 신전 집합체로서, 이집트 신전 건축 개발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했다.[183]

고대 이집트인들은 태양을 강력한 생명력으로 여겼다. 초기 왕조 시대(기원전 3100–2686년)부터 라가 숭배되었지만, 라가 이집트 판테온에서 지배적인 존재가 된 고왕국 시대(기원전 2686–2181년)에 이르러서야 태양 숭배가 권력을 잡았다.[27] 고왕국 초기에 라의 영향력이 커졌고, 헬리오폴리스에 있는 그의 숭배 중심지는 국가에서 가장 중요한 종교적 장소가 되었다.[28] 제5왕조에 이르러 라는 이집트에서 가장 두드러진 신이 되었고, 이집트 역사 전체에서 유지했던 왕권 및 사후 세계와의 긴밀한 관계를 발전시켰다.[187][188] 거의 같은 시기에 오시리스는 중요한 사후 세계 신이 되었다.[189] 이 시대에 처음 쓰여진 피라미드 텍스트는 사후 세계에 대한 태양 및 오시리스 개념의 중요성을 반영하지만, 훨씬 더 오래된 전통의 흔적도 포함하고 있다.[29] 이 텍스트는 초기 이집트 신학을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

'날개 달린 원반'과 같은 상징은 새로운 특징을 갖게 되었다. 원래 매의 날개를 가진 태양 원반은 호루스의 상징이었고 델타 마을 베흐데트에서 그의 숭배와 관련되었다. 고왕국 시대에 신성한 코브라가 원반 양쪽에 추가되었다. 날개 달린 원반은 보호적인 의미를 지녔으며 신전 천장과 의식 입구에서 발견되었다.

기원전 22세기에 고왕국은 제1중간기의 혼란으로 붕괴되었다. 결국, 테베 출신 통치자들이 중왕국 시대(기원전 2055년경–1650년)에 이집트를 재통일했다. 이 테베 파라오들은 처음에는 그들의 수호신 몬투를 국가적으로 중요하게 만들었지만, 중왕국 시대 동안 아문의 인기가 높아지면서 가려졌다.[193] 이 새로운 이집트 국가에서 개인적인 경건함이 더 중요해졌고, 글쓰기를 통해 더욱 자유롭게 표현되었으며, 이러한 경향은 신왕국 시대에도 계속되었다.[30]

6. 3. 신왕국

아문은 이집트 신왕국(기원전 1570년경~1070년경) 시대에 최고의 국가 신으로 숭배되었다. 그는 오랫동안 왕권을 수호해 온 태양신 라와 융합되어 아문-라가 되었고, 테베에 있는 그의 카르나크 신전은 이집트의 종교 중심지가 되었다.[194] 아문의 지위 상승은 테베의 중요성이 커진 것과 더불어, 전문적인 사제단의 역할도 컸다. 사제단의 정교한 신학적 논의는 아문의 보편적인 힘을 상세히 묘사했다.

이 시기에는 외부 민족과의 접촉이 늘면서 근동의 신들이 많이 받아들여졌다. 정복된 누비아인들은 이집트 종교 신념을 흡수했고, 특히 아문을 자신들의 신으로 받아들였다.

아크나톤이 즉위하면서 신왕국의 종교 질서는 무너졌다. 그는 아문을 아톤으로 대체하여 국가 신으로 삼았다. 그는 다른 대부분의 신들에 대한 공식적인 숭배를 제거하고, 수도를 아마르나로 옮겼다. 이 시기를 아마르나 시대라고 부른다. 아크나톤은 오직 자신만이 아톤을 숭배할 수 있고, 백성은 자신을 향해 숭배를 드려야 한다고 주장했다.

아톤주의 체제는 잘 발달된 신화와 내세에 대한 믿음이 부족했고, 아톤은 멀리 떨어져 있고 비인간적인 존재로 여겨져 평범한 이집트인들에게 매력적이지 않았다.[199] 많은 사람들이 사적으로 전통적인 신들을 계속 숭배했을 것으로 보인다.[200] 다른 신들에 대한 국가의 지원 철회는 이집트 사회를 심각하게 혼란시켰다.[201] 아크나톤의 후계자들은 전통적인 종교 체제를 복원하고, 모든 아톤주의 기념물을 해체했다.[202]

아마르나 시대 이전에는 대중 종교가 숭배자와 신들 사이의 더 개인적인 관계로 나아가는 경향이 있었다. 아크나톤의 변화는 이러한 경향을 뒤집었지만, 전통적인 종교가 복원되자 반발이 일어났다. 백성은 신들이 일상생활에 훨씬 더 직접적으로 관여한다고 믿기 시작했다. 최고의 신인 아문은 인간 운명의 최종 심판자, 이집트의 진정한 통치자로 여겨졌다. 파라오는 더 인간적이고 덜 신성하게 되었다. 의사 결정 수단으로서의 신탁의 중요성이 커졌고, 신탁 해석가인 사제단의 부와 영향력도 커졌다. 이러한 추세는 사회의 전통적인 구조를 훼손하고 신왕국의 붕괴에 기여했다.[203]

6. 4. 프톨레마이오스 왕조와 로마 제국

로마이시스 신전 터


여신의 모습으로 조각된 클레오파트라 7세


기원전 1000년경부터 이집트는 매우 약해져 리비아인과 누비아인 등 외국인들에게 점령당하여 혼란스러운 제3중간기를 보냈다. 이 시기에는 정권 불안정과 외국 문화의 영향으로 동물 숭배가 대중화되었다.[204] 특히 제3중간기에는 여신 이시스가 더욱 대중화되어 이집트에서 가장 중요한 여신으로 숭배받았다.[205]

기원전 4세기에 이집트는 프톨레마이오스 왕조의 치하에서 전통적인 종교를 유지하고 많은 신전을 복구하면서 헬레니즘 문명을 꽃피웠다. 그리스에서 유래한 프톨레마이오스 왕조는 기존 이집트 종교와 자신들의 정체성을 동일시하게 되었고, 그리스와 이집트 문화를 결합시키기 위해 두 문명의 신들을 세라피스(오시리스아피스)와 같이 혼합하였다. 그럼에도 두 종교의 특징 대부분은 각자 분리된 상태로 유지되었다.[206][207]

클레오파트라 7세가 기원전 30년에 자살한 이후, 로마 황제가 프톨레마이오스 왕좌를 대신하여 이집트 파라오가 되면서 이집트는 로마 제국의 속주가 되었다. 프톨레마이오스 왕조의 종교 제도는 이집트가 사실상 로마 제국의 식민지가 되면서 변하게 되었다.[208] 이시스 숭배 의식은 그리스와 로마를 비롯한 해외에서 주목받았으며, 헬레니즘 문명화되어 로마 제국 전체에 걸쳐 퍼져 나갔다.[209] 그러나 정작 이집트에서는 이집트 종교의 신학과 신앙을 비롯한 교세가 신전이 있는 섬과 지역에 한정되는 소규모로 점점 축소되었다.[210]

이집트 종교는 결국 기원후 1세기기독교가 유입되면서 더욱 쇠퇴하였으며, 서기 383년 황제 테오도시우스 1세기독교로마 제국의 국교로 삼자 이집트를 비롯한 모든 로마 제국 영토에 있는 이집트 종교 관련 신전은 이교도로 취급되어 강제로 폐쇄되었다. 로마 제국 멸망 이후에도 이집트 종교를 믿는 사람들이 종종 있었으나 사실상 죽은 종교가 되었다.[211]

7. 영향

고대 이집트 종교는 수많은 신전과 무덤을 남겼으며, 스핑크스와 날개 달린 태양 원반 등 다양한 상징과 기호들이 지중해근동 지역으로 퍼져나갔다. 이러한 상징 중 일부는 그 기원을 추적하기 어렵지만, 엘리시움과 같은 그리스 신화의 개념은 이집트의 사후 세계관에서 비롯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지그문트 프로이트를 비롯한 여러 학자들은 유대교가 이집트의 아텐 신앙에서 기원했을 수 있다고 추정한다.[212]

기독교지옥 개념은 두아트의 이미지와 유사하며, 성모 마리아는 이시스호루스 신화에서 영향을 받았을 수 있다. 이집트 종교는 영지주의의 탄생에도 영향을 미쳤는데, 예를 들어 헤르메스주의토트와 관련된 비밀스러운 마법 지식 전통에서 유래했다.

고대 신앙의 흔적은 현대 이집트 민속 문화에도 남아있다. 특히 1798년 프랑스의 이집트 시리아 원정 이후 이집트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서구 문명은 고대 이집트 종교를 연구하고, 그 내용을 서양 예술의 주제로 채택했다.[214] 이집트 종교는 대중 문화에도 영향을 미쳐, 20세기 후반에는 신이교주의 운동의 일환으로 '케메티즘'이라는 이름으로 재발생하기도 했다.[215] 케메티즘은 현대 이교의 일종이며, 마아트, 바스테트, 아누비스, 세크메트, 토트 등을 숭배한다. 이들은 고대 이집트 종교의 직접적인 후손을 자처하지 않고, 재창조 또는 복원을 추구한다.[38][39]

케메티즘의 주요 상징 중 하나인 앙크


토트에게 바쳐진 케메티즘 추종자의 제단

참조

[1] 웹사이트 Gods in Ancient Egypt https://oxfordre.com[...] 2023-04-10
[2] 서적
[3] 서적
[4] 서적
[5] 서적 The Cosmology of the Pyramid Texts
[6] 서적 The Amarna Period and the Later New Kingdom
[7] 간행물 Akhenaten: History, Fantasy and Ancient Egypt Routledge
[8] 서적 Egypt, trunk of the tree https://books.google[...] Algora
[9] 서적
[10] 서적 Piety
[11] 서적
[12] 문서 Cults: Overview
[13] 서적
[14] 서적
[14] 서적
[15] 학술지 Egyptian Animals Were Mummified Same Way as Humans https://news.nationa[...] 2010-08-06
[16] 서적 Oracles
[17] 서적
[18] 서적
[19] 문서 Cults: Private Cults
[20] 서적
[21] 문서 The Egyptians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2] 문서 2023-12
[23] 학술지 Gift of the Nile? Climate Change, the Origins of Egyptian Civilization and Its Interactions within Northeast Africa https://www.academia[...] 2018-01-01
[24] 서적 "Egyptian Religion" in Macropedia, Vol. 6 Encyclopedia Britannica
[25] 서적 Kingship and the gods : a study of ancient Near Eastern religion as the integration of society & natur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78
[26] 서적 Ancient Egypt in its African context : economic networks, social and cultural interactions 2022
[27] 서적 The Encyclopedia of Ancient Egypt Sterling Publishing Co., Inc.
[28] 서적
[29] 서적
[30] 서적 The Middle Kingdom
[31] 서적 State and Religion in the New Kingdom
[32] Encyclopedia Philae http://escholarship.[...] 2012-04-24
[33] Encyclopedia Philae Oxford University Press
[34] 서적 Christianity and Monasticism in Aswan and Nubia American University in Cairo Press
[35] 문서 Bell. Pers.
[36] AV미디어 The amazing history of Egypt http://www.historyex[...] BBC History Magazine 2016-01-17
[37] 논문 A Cult of Isis at Philae after Justinian? Reconsidering 'P. Cair. Masp.' I 67004
[38] 웹사이트 International Network of Kemetics http://www.inkemetic[...] 2008-08-21
[39] 웹사이트 Egypt - the image of heaven http://kemet.pise.cz[...] 2009-09-26
[40] 서적 Kodai ejiputojin https://www.worldcat[...] 筑摩書房 1986
[41] 서적 Ejiputo no kōkogaku https://www.worldcat[...] 同成社 1997
[42] 서적 Middle Egyptian: An Introduction to the Language and Culture of Hieroglyph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0
[43] 서적 The Way to Eternity: Egyptian Myth Amsterdam: Duncan Baird Publishers 1997
[44] 영상 Egypt : quest for immortality 한국방송기자클럽 1995
[45] 서적 "Coptic." Compendium of the World's Writing Systems Biddles LTD 1991
[46] 서적 Ägyptische Religion Kohlhammer, Stuttgart 1960
[47] 서적 The Oxford Essential Guide to Egyptian Mythology Berkley Publication Group 2002
[48] 간행물 Some Basic Principles of Ancient Egyptian Religion: A Basis for Further Exploration 2003
[49] 서적 The Search for God in Ancient Egypt Cornell University Press 2001
[50] 서적 Middle Egyptian
[51] 서적 The Complete Gods and Goddesses of Ancient Egypt Thames & Hudson 2003
[52] 서적 Middle Egyptian
[53] 서적 2003
[54] 서적 Religion and Magic in Ancient Egypt Penguin 2002
[55] 서적 2003
[56] 서적 2002
[57] 서적 2003
[58] 서적 2000
[59] 서적 Religion in Ancient Egypt: Gods, Myths, and Personal Practice Cornell University Press 1991
[60] 서적 2003
[61] 서적 2003
[62] 서적 2003
[63] 서적 2000
[64] 서적 2002
[65] 서적 2003
[66] 서적 2001
[67] 서적 2003
[68] 서적 2001
[69] 서적 2002
[70] 서적 2002
[71] 서적 2003
[72] 서적 2000
[73] 서적 2000
[74] 서적 2000
[75] 서적 Temples of Ancient Egypt I. B. Tauris 1997
[76] 서적 2000
[77] 서적 2000
[78] 서적 2000
[79] 서적 2003
[80] 서적 2000
[81] 서적 2000
[82] 서적 2000
[83] 서적 2000
[84] 서적 2003
[85] 서적 2003
[86] 서적 1997
[87] 서적 2003
[88] 서적 2003
[89] 서적 2000
[90] 서적 2000
[91] 서적 2000
[92] 서적 2000
[93] 서적 2005
[94] 서적 2002
[95] 서적 2001
[96] 서적 2002
[97] 서적 1997
[98] 서적 2002
[99] 서적 1997
[100] 서적 2005
[101] 서적 2002
[102] 서적
[103] 서적 1997
[104] 서적 1997
[105] 서적 1997
[106] 서적
[107] 서적
[108] 서적
[109] 서적
[110] 서적
[111] 서적
[112] 서적
[113] 서적
[114] 서적
[115] 서적
[116] 서적
[117] 서적
[118] 서적 Complete Gods and Goddesses
[119] 서적
[120] 서적
[121] 서적
[122] 서적
[123] 서적 Wallraf-Richartz Museum, Köln
[124] 서적
[125] 서적
[126] 서적
[127] 서적
[128] 서적
[129] 서적
[130] 서적
[131] 서적
[132] 서적
[133] 서적
[134] 서적
[135] 서적
[136] 서적
[137] 서적
[138] 서적
[139] 서적
[140] 서적
[141] 서적 Pinch 1995
[142] 서적 Wilkinson 2000
[143] 서적 Wilkinson 2000
[144] 서적 Shafer 1999
[145] 서적 Wilkinson 2000
[146] 서적 Wilkinson 2000
[147] 서적 Shafer 1997
[148] 서적 Redford 2002
[149] 서적 Wilkinson 2000
[150] 서적 Wilkinson 2000
[151] 서적 Shaw 2000
[152] 서적 Wilkinson 2000
[153] 서적 Shafer 1997
[154] 서적 Oracles 2001
[155] 서적 Frankfurter 1998
[156] 서적 Allen 2000
[157] 서적 Pinch 1995
[158] 서적 Redford 2002
[159] 서적 Pinch 1995
[160] 서적 Pinch 1995
[161] 서적 Pinch 1995
[162] 서적 Quirke and Spencer 1992
[163] 서적 Fleming and Lothian 1997
[164] 서적 Taylor 2001
[165] 서적 Taylor 2001
[166] 서적 Taylor
[167] 서적 Fleming and Lothian 1997
[168] 서적 Quirke and Spencer
[169] 서적 Taylor 2001
[170] 서적 Taylor 2001
[171] 서적 Quirke and Spencer 1992
[172] 서적 Quirke and Spencer 1992
[173] 서적 Wilkinson 2003
[174] 서적 David 2002
[175] 서적 Wilkinson 2003
[176] 서적
[177] 서적
[178] 서적
[179] 서적
[180] 서적
[181] 서적
[182] 서적
[183] 서적
[184] 서적
[185] 서적
[186] 서적
[187] 서적
[188] 서적
[189] 서적
[190] 서적
[191] 서적
[192] 서적
[193] 서적
[194] 서적
[195] 서적
[196] 서적
[197] 서적
[198] 서적
[199] 서적
[200] 서적
[201] 서적
[202] 서적
[203] 서적
[204] 서적
[205] 서적
[206] 서적
[207] 서적
[208] 서적
[209] 서적
[210] 서적
[211] 서적 Wilkinson (2003)
[212] 서적 Assmann 2001
[213] 서적 Hornung 2001
[214] 서적 Hornung 2001
[215] 서적 Melton 20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